[공부] 윰랭 de 보통의상식

[윰랭 de 보통의상식] 성서지리 공부기록

JudithKim 2021. 9. 18. 21:06

1. 문명의 요람 cradle of civilization - 서구 학계 출처

초기 : 이집트 문명

이후 : +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 아메리카 대륙의 문명들(잉카제국의 안데스 지역, 아즈텍과 마야의 메소아메리카 지역) 등

  • 비옥한 초승달 지대 -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문명
  • 인더스 평원 - 인더스 문명
  • 중국 평원 - 황하 문명, 장강 문명, 사천 문명 등의 중국 문명
  • 안데스 연안 - 잉카 제국
  • 메소아메리카만 연안 - 아즈텍 제국, 마야문명

2.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 청나라 량치차오 출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세계 4대 문명은 1900년, 청나라의 사상가이자 정치가였던 량치차오가 주장한 개념이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법의 원조는 서구 학계에서 나온 '문명의 요람(cradle of civilization)'으로, 1)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2) 인류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3) 고대 문명의 발상지 등을 일컫는 관용구로 쓰였다. 이에 대한 다양한 분류 중에 량치차오의 개인의 관점에 따라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황하' 4개의 문명을 꼽아 정립한 것일 뿐이므로, 보편적이거나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

 

 

3. 고대근동

근동 땅은 현재 "중동(middle east)"라고 일컬어야 더 올바르고 지리적으로도 정확하다. 하지만, '고대근동학'이라는 말은 관행으로 정착된 학술용어로 동일한 지역을 시대에 따라 다르게 부르게 되었다. 현대적 사건을 일컬을 때에는 '중동(예: 중동전쟁, 중동 정책)'이라고 일컫고, 고애 문헌 등을 일컬을 때는 '근동'이라는 말을 쓴다. 

 

1) 고대근동분류

  • 메소포타미아 문명 지역 : 아시아
    - 메소포타미아 문명권의 대도시는 모두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줄기를 따라 형성되었다.
    -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은 아라랏산에서 발원하여 남동쪽으로 평행선을 이루며 두 줄기로 흐르다가 페르시아만 가까이에서 합류한다.
    - 메소포타미아 지방은 대략 '바그다드'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뉜다. (둘 사이의 지형/민족/종교의 차이도 심하다.

    앗수르제국 (바그다드 북쪽) 바벨론제국 (바그다드 남쪽)
    - 높은 산지와 언덕이 많다.
    - 강수량이 남쪽에 비해 많다. (500mm가 넘는 곳도 있다.)
    - 여름은 덥지만 겨울에는 혹독한 추위로 견디기 힘들 정도이다.
    - 풍부한 겨울비가 좋은 초지를 만들어주어 유목민이 살아가게 한다.
    - 주요도시 : 앗수르, 니느웨, 갈라(니므롯 추정)
    - 건축재료 : 산지에서 목재와 석재를 구해 사용. (서민의 경우 남쪽 지방처럼 흙벽돌을 사용)

    앗수르 제국의 진출경로 
    1) 부족한 양식을 제공할 남쪽 바벨론으로 통치권 확장
    2) 이집트까지의 영토확장을 위한 남하정책으로 북이스라엘 정복
    - 상류에서 운반된 퇴적물로 땅이 기름지다.
    - 고온건조한 기후대에 속해 강수량이 적다.
    - 관개농업에 의존했는데, 관개농업의 성패가 흥망성쇠를 결정했다.
    - 봄이 되면 높은 산지의 눈이 녹아 티그리스 & 유프라테스 강으로 흘러들고 이집트와 달리 농경에 부적합하다.
    - 이로 인해 중부와 남부 사람은 운하를 만들어 농사를 짓는 한편 도시를 세웠다.
    - 관개농업으로 이룬 풍요로 건축재료와 사치품을 수입할 수 있었다.
    - 강과 습지대에서는 생선을 얻고, 농업으로 풍요로운 양식을 얻었다.
    - 이러한 풍요로 문명을 이루어냈다.
    - 시날 땅의 바벨탐, 수메르 문명, 아카드와 바벨론 문명
    - 건축재료 : 진흙(창11:2-3)
    - 바벨론 제국이 세계를 장악한 시간은 짧다. 70년
    - 이 땅은 또 다른 헝그리 정신의 '메대와 바사'에게 정복 당했다.
    바사(페르시아)제국 (산악민족) 헷(히타이트)제국
    메대의 수도 : 악메다
    바사의 수도 : 페르세폴리스
    * 세 나라의 풍요순서 : 바벨론 - 앗수르 - 메대와 바사
    * 제국건설 및 유지순서 : 바사 - 앗수르 - 바벨론
    수도 : 하투샤(현, 보아즈칼레)

  • 나일강의 이집트 문명 지역 : 아프리카
    - 아프리카 대륙의 동북단에 위치해 동서 문화의 교량역할을 하면서 찬란한 문명을 꽃 피웠다.
    - 가장 중요한 자원인 '나일강'을 따라 문명이 발달했다.
    - 지중해에서 불어오는 시원하고 부드러운 계절풍 덕에 연중 화창하고 건조한 기후를 유지.
    - 지리적인 장점으로 외적의 침입이 어려웠다.(북쪽은 지중해, 남쪽은 광활한 사막, 북동쪽은 시내광야가 위치)
    - 지리적인 장점으로 통일된 왕국을 지속할 수 있었고, 많은 문화재가 파손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다.

  • 그리스와 로마 문명 지역 : 유럽(소아시아 포함) / 사도행전에서 확장되는 장소

  • 레반트(levant 해 뜨는 곳) 지역 :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사이에 위치. 이스라엘, 아람, 암몬, 모압 , 에돔, 시내반도

레반트 지역은 중요하니! 오늘은 여기까지 합니다!